참여하기 - 한국생명의전화

생명의전화

소식

자살위험성 평가

자살위험 평가를 위한 10가지 질문

질문1
1. 자살에 대해서 생각해 보셨습니까?
전혀 없다 한두 번 했다 종종 한다 자주 한다 항상 한다
0 1 2 3 4
질문2
2. 어떤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하려 하십니까?
없다 약간 보통 구체적 매우 구체적
0 1 2 3 4
질문3
3. 자살하기 위해 어떻게 준비해 오셨습니까?
없다 약간 보통 철저히 매우 철저히
0 1 2 3 4
질문4
4. 최근 생활 스트레스로 인해 얼마나 고통으로 느끼고 계십니까?
없다 약간 보통 심각 매우 심각
0 1 2 3 4
질문5
5. 자신을 도와 줄 가족이나 친구, 지인, 기관 등이 있습니까?
충분 있음 보통 약간 없다
0 1 2 3 4
질문6
6. 이전에 자살을 시도해 본적이 있습니까?
없다 자살위험 예측가능시도 한두 번 시도 여러 번 시도
0 1 2 3 4
질문7
7. 심리적 문제로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없다 상담 치료(1회) 치료(2회) 현재 치료 중
0 1 2 3 4
질문8
8. 현재 알코올이나 약물을 얼마나 복용하였습니까?
없다 약간 보통 심각 약물 중독
0 1 2 3 4
질문9
9. 삶의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매우 크다 크다 보통 약간 없다
0 1 2 3 4
질문10
10.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떻게 대처해 오셨습니까?
이성적 대처능력 단기 이성적 대처능력 이성적 대처능력 미약 비이성적 대처능력 총체적 대처능력 장애
0 1 2 3 4

자살 위험이 낮을 때 대응방법 : 1~19점

자살위험이 낮은 사람은 자살에 대해 한두 번 생각한 적이 있고, 구체적으로 자살 계획을 세우지 않았고,
현재 약간의 스트레스가 있는 상황이다. 자살을 시도해 본 적은 없으며 이전에 상담을 받아본 적이 한번 정도 있다.
알코올이나 약물을 조금 복용한 경험이 있고, 자신을 지지해 줄 가족이 있고, 삶의 이유가 있으며,
자신의 문제를 이성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다. 자살위험이 낮을 때 위기개입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해야할 일

해야할 일
문제를 충분히 경청, 공감하면서 함께 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있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그의 내면적 고통과 불행을 이해하려고 힘쓴다.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상담자가 거기에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언제든 망설이지 말고 도움을 청하도록 하고, 필요하면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으러 갈 수 있음을 알려준다.

피해야 할 일

피해야 할 일
내담자의 말을 비판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 : 내담자는 이미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충고를 강요하지 않는다. : - 충고는 내담자의 문제해결을 찾는 기회를 부정하는 것이다.
문제를 최소화 하지 않고 진지하게 받아들인다. : 어떠한 자살 시도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무관심한 태도 혹은 방관자적 태도는 삼간다. : 자살은 상담자가 근거 없는 배짱과 만용을 부려서는 안 되는 문제이다.

자살위험이 중간 정도일 때 대응방법 : 20~29점

자살위험이 중간정도인 사람은 자살에 대해 자주 생각하고 구체적으로 자살방법이나 준비를 해보았다. 현재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이고 과거에 자살을 시도해 본 적도 있다. 또한 자신을 지지해 줄 가족이나 친구가 많지 않으며 정신과 치료나 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다. 알코올이나 약물을 복용해 보았고, 삶의 이유가 별로 없다고 생각하며, 문제에 대처하는 방식이 비합리적이다. 자살위험이 중간일 때 위기개입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해야할 일

해야할 일
자살하려는 이유를 경청, 공감하면서 신뢰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충분히 경청하면서 내담자의 현재 문제가 무엇인지 규명하도록 돕는다.
내담자에게 자살계획에 대해 질문한다. : 구체적인 방법을 계획하고 준비하고 있다면 자살위험이 크다.
몇 가지 즉각적인 대안들을 분명하게 제시한다. : 도움을 줄 수 있는 학교 혹은 지역사회 사람들
내담자의 중요한 정보를 확보한다. : 내담자의 이름, 주소, 집 전화번호, 부모의 직장 전화번호 등
자살시도의 위험성이 커 보이고 우울증과 같은 증상이 있어 보일 때는 정신과 의사의 협조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려 준다.
자살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는다. : “나는 무슨 일이 있어도, 자살하지 않겠습니다.”

피해야 할 일

피해야 할 일
막연한 낙관론을 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 “모든 것이 잘 될 거다.”, “당신은 장점이 더 많다.”
결정적인 묘수를 가르쳐 주려는 시도는 옳지 않을 때가 많다. : 오히려 성실히 듣고 공감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상담자는 침착성을 잃어서는 안 된다. : 침착성을 잃고 불안과 두려움을 보이면 내담자는 더 혼란에 빠진다.
내담자가 처한 상황에 대한 전체를 다루려 하지 않는다. : 현재 이 자리에서의 상황과 문제를 다루도록 한다.
긴 신앙적인 조언이나 삶에 대한 논쟁은 하지 않는다. : 내담자의 생각이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은 도움이 안 되고 일단 그들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살 위험이 높을 때 대응방법 : 30점 이상

자살위험이 높은 내담자는 자살에 대해 항상 생각하고 있고, 자살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방법으로 준비하고 있고, 현재 스트레스가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자신을 지지해 줄 가족이 없고, 이전에 여러 번 자살시도를 해본 적이 있다.
정신과 상담을 여러 번 받아본 적이 있고, 현재 알코올이나 약물에 중독되어 있으며, 삶의 이유도 거의 없다.
그리고 자신의 문제에 대처하는 방식이 비합리적이고 파괴적이다. 자살위험이 높을 때 자살위기 개입방법은 다음과 같다.

해야할 일

해야할 일
경청과 공감을 통해 신뢰관계를 형성해 나간다.
계속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해서 시간을 번다.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여 고 위험성 환경을 관리한다. : “그것을 아래로 내려 놓으시오.”, “약을 버리시오.”, “높은 곳에서 한 발 내려오세요.”등
지지해 줄 수 있는 사람이나 자원이 있는지 확인한다. : 종교, 가족, 친구, 동료 등 확인
자살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 낸다. : 도움 제공을 위해 내담자 정보를 확인한다.
생존계획을 수립한다. : 안전성 확보, 적어도 3가지 전화번호 연결, 상황이 악화되었을 때 반드시 다시 연락을 줄 것을 약속한다.
자살 이외의 다른 대안을 찾는데 집중한다.
위기관리팀 혹은 지역 자살예방센터에서 지속적으로 도움을 준다.

피해야 할 일

피해야 할 일
내담자에게 도덕적인 판단을 하지 않는다.
내담자를 혼자 남겨두지 않는다. : 목욕탕에 갈 때 조차 함께 한다.
내담자의 마음을 동요하게 하지 않는다.
- 모든 경우에 관심을 보여주고 솔직하고 침착한 태도를 지닌다.
- 자살에 대해 기꺼이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상담자는 자살에 대해 비난하지도 수용하지도 않는다.
- 상투적인 이야기는 꾹 참는다.
- 정말 이해한 것이 아니라면 이해한다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
- 내담자가 비밀유지를 요청했더라도 동의하지 않는다.